ㅆㄷ?) 늑대와 향신료에서 호로가 호밀빵을 싫어하는 이유
조회 : 255
추천 : 1
24-04-19 21:00
조회 : 255
추천 : 1
24-04-19 21:00
페이지 정보
본문
보통 중세 유럽 빵 하면 생각나는 모습인데 이 정도면 나름 잘 사는 사람이 먹는 빵임.
밀가루와 잡곡을 섞어서 만든 도시의 빵에 가까움.
현대 우리가 먹는 바게트는 중세 유럽 기준 귀족이나 입에 댈 수 있는 매우 부드럽고 신선한 빵임.
늑대와 향신료를 보면 밀빵을 사달라고 호로가 맨날 조르는데 주머니 사정이 풍족치 않은 로렌스는 자주 못 사줌.
그래서 자기가 주로 먹는 귀리 또는 보리나 호밀로 만든 빵을 주로 삼.
참고로 호밀도 귀리보다 훨씬 비쌌음.
중세 유럽 기준 곡물 1자루(irdabb 120kg정도) 가격은 밀 38페니 호밀 22페니 귀리 16페니였음.
이게 중세 서민들이 먹던 빵임.
유럽에서 나온 말 중에 빵을 자를 수 있는 나이가 어른이라는 의미를 지닌 이유가 있음.
이걸 자를려면 도끼로 쪼개야 되니까.
원작을 보면 호로는 이거 먹기 싫어서 그냥 물에 풀어 후루룩 마셔 버린다고 자주 묘사되는데 이해가 감.
작중에 묘사된 딱딱한 빵을 그릇삼아 식사하는 방법.
- 이전글위장결혼해서 게이 등쳐먹으려는 레즈비언.jpg 24.04.19
- 다음글여자의 한마디에 하루 아침에 성범죄자가 된 현실 24.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