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 교육 고민하는 사람이 볼 만한 영상
조회 : 403
추천 : 2
24-05-07 14:30
조회 : 403
추천 : 2
24-05-07 14:30
페이지 정보
본문
https://youtu.be/Z6wHzRDz6jI?si=9c76mWijxb30WPcS
영상 주제는 중국에 관한 건데 교육에 관한 내용이 더 중요해서 갖고 와봤다. 길고 해서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1. 중국이 중진국 함정에서 못 벗어날 가장 큰 리스크는 고등학교 이상 교육이 부족하다는 것
2. 공산당도 바보가 아니니 지원을 늘려서 최근에는 고교 진학율이 80% 이상 되고 있음
3. 그러나 늘려 놓은 학교의 질이 좋지 않아(교사, 재정 부족) 많은 학생들이 중간에 도태되고 있는 실정
4. 그렇게 도태된 젊은이들이 중국 사회의 불안과 경제 부진의 원인이 되고 있음
<한국경제>
1. 그런데 한국은 어떻게 중진국 함정을 탈출할 수 있었는가?
2. 90년대에 대학 정원이 대폭 늘어나면서 대졸자를 대량 양산
3. 대졸 이상 인원들이 3차산업혁명에 적응하면서 90~00년대 한국 경제 퀀텀점프의 기반이 됨 (ex: 문과 졸업해서 SW개발자 되기)
4. 대졸자 잉여가 많았다고 하지만 국가적으론 3차산업혁명 예비군을 양성한 것과 마찬가지
5. 결과적으로 개인들은 불행한데 집단으로서는 경쟁력 있어짐
<선진국에 필요한 교육은?>
1. 청소년들에게 실용적인 직업교육을 시킬 것인가 일반교양 위주의 보통교육을 시킬 것인가는 항상 논쟁적인 주제
2. 90년대 이전에는 직업교육을 시키는 국가가 잘 나갔음(ex: 독일, 중국)
3. 그러나 21세기부터는 산업의 트렌드가 수시로 바뀜
4. 고등학교에서 직업교육을 시키면 애들이 졸업할 쯤엔 산업 트렌드가 바뀔 수 있음. 쇠 깎는 교육을 시켰는데 몇년 뒤엔 소용 없어진다면?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 20세기에 성공적이었던 한국의 실업고등학교는 21세기 마이스터고로 바뀌면서 실패 연속
2. 이젠 실용적인 기술, 지식은 한계시간이 짧다.
3. 21세기 학생들, 나아가 성인들에게 필요한 능력은 새로운 지식을 계속 공부하고 변화할 수 있는 능력
4. 결국 배워야 하는 건 '배우는 법'
5. 배우는 법을 익히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일반교육, 즉 언어와 수학(국영수)
결론 : 애들한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21세기에는 변화의 바탕이 될 수 있는 일반 지식을 가르쳐야 한다. 생각하고 배우는 힘을 길러 줘야 한다. 당장엔 아무 짝에도 쓸모 없어 보이는 교육이 진짜 가치 있는 교육이다. 어학, 철학, 수학 등등등
각자 받아들이는 건 다르겠지만 난 이정도로 이 영상을 봤다. 자식 교육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도움이 될 걸로 생각한다.
- 이전글유튜브 역사상 최고의 극딜로 평가되는 댓글 24.05.07
- 다음글민희진 티셔츠 가격 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