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메이지 덴노 사진의 안 흔한 비밀.jpg
조회 : 1,368
추천 : 5
24-05-05 12:00
조회 : 1,368
추천 : 5
24-05-05 12:00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날 일본의 메이지(明治) 덴노이라고 하면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사진
![]()
자세히 보면 질감에서 느껴지겠지만
사실 사진이 아니라 '그림'이다

뜻밖에도 메이지는 극도의 대인기피증을 앓고 있던 인물인 데다가
세간의 인식과는 반대로 서구문명에 매우 부정적인 인물이었고
게다가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아 얼굴에 흉터가 많았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얼굴을 드러내는 현장을 되도록이면 피하려 한 인물이었는데.
![]()
이미 개항을 하고 서구식 개혁을 시작해버린 지라
좋든 싫든 외국과의 교류를 위해서라도 국왕의 공식 초상화를 만들어둘 필요가 있었음
![]()
게다가 당시 일본이 본받기 바빴던 유럽 국가들은
화폐나 우표에 국왕의 초상화를 새겨넣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었음

그래서 당시 메이지 정부는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조각가인
에도알도 키요소네(Edoardo Chiossone)를 초청해
메이지의 초상화를 그릴 것을 의뢰했음
문제는.

씨발 찍지 마

???
아니 선생님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아직도 사진을 거부하세요
심지어 느그 나라가 돈 주고 나 초빙했잖아..

성질 뻗쳐서 정말
찍지 마

아오 씨..
바로 메이지 천황이 기를 쓰고 사진 찍기를 거부했다는 것
하지만 키요소네가 뭐하러 일본까지 왔던가
일본 국왕의 초상화를 남기기 위해서가 아니었던가
한참을 고민하던 끝에 키요소네는 한 가지 방도를 찾아내는데...

저기 선생님
사진이 정 싫다면
수정(왜곡)도 용이하고 실물보다는 덜 닮은 그림은 어떠십니까

어... 그래...
근데 너무 가까이서 그리지는 마
얼굴 팔리는 거 기분나쁘거든

예 알겠습니다
근데 대신 폐하 예복 좀 잠깐 빌려줄 수 있으신?

???? 뭐 그래 알았다
딱히 서양옷 좋아하지도 않았는데
옛다

오오 마침내...!
그렇게 메이지의 예복을 빌린 키요소네는

본인이 직접 그 옷을 입고 포즈를 잡아 사진을 찍은 다음

그 위에 멀리서 보고 그린 메이지의 얼굴을 덧대 그려
우리가 아는 메이지의 초상화를 그려냈다고 한다
![]()
비록 '창작물'이긴 했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메이지의 초상화는 꽤나 매력적이어서
전국 관공서와 학교마다 메이지의 상상화가 실제 어진인 것처럼 나붙었고
또 이걸 구하기 위해 불길 속에 뛰어들었다 죽은 사람이 나올 정도로
키요소네의 작품은 일본인들에게 흡입력이 있었다고 함

근데 웃긴 건 처음에 초상화를 그릴 때는
우표나 지폐 등에도 사용할 목적도 겸해서 그린 거였는데
정작 일제 패망 이전까지 일본 돈에 천황이 새겨진 적은 한 번도 없었음
(사실 지금도 없다)
- 이전글현시각 티맵 1, 2, 3 위 24.05.05
- 다음글미국 휴양간 메시 근황 ㄷㄷㄷㄷ 2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