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이 관측할 수 없을 것이라 한 천체현상
조회 : 175
추천 : 1
23-09-24 22:24
조회 : 175
추천 : 1
23-09-24 22:24
페이지 정보
본문

인류역사상 최고의 천재 중 한명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그런 아인슈타인도 끝까지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는 것이 바로 양자역학인데
이런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우주적 현상들은
그가 발표한 상대성이론에 따라 현재까지도 영구적인 진실인 것으로 평가됨.
![]()
그런 아인슈타인이
자신의 이론에 대한 확신은 있었지만
관측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한 천문현상이 있었는데
![]()
바로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라는 개념
거대한 은하, 또는 퀘이사와
관찰자인 지구 사이에
그보다 훨씬 거대한 은하가 존재해
중력이 휘어지면
뒷쪽에 있는 천체의 빛이 네 갈래로 갈라져
마치 십자가 처럼 보일 것이라고 주장한 아인슈타인은
"이 현상을 직접 관측할 순 없을 것이다.
이렇게 완벽하게 정렬된 두 은하를 발견하는 것과
이런 은하를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은 존재할 수 없을 것"
이라며 이 현상의 관측을 부정적으로 말함
![]()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간과한 사실은
우주에 얼마나 많은 천체가 존재하는가,
인류가 천체 관측을 위해 얼마나 많은 자원을 사용할 것인가였고,
아인슈타인 사후 30년 뒤인 1985년
인류는 최초의 아인슈타인 십자가를 관측하는데 성공함
![]()
그 이후에도 매우 희귀하게 새로운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발견됐고,
가장 최근에 발견된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인류 최대의 광학망원경인 칠레의 VLT 로 관측한 천체임


- 이전글주작질로 업적작했다는 황제.jpg 23.09.24
- 다음글잔다르크가 서브컬쳐에서 깃발이 무기인 이유 23.09.24




